알파고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10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와의
바둑 대결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5판 3선증제의 바둑 대결은 인간 대 인공지능의 대결로 결과가 궁금해집니다.
과거 인공지능과의 대결에서 두 차례 밀린 인류.
1997년 IBM이 개발한 딥 블루는 당시 세계 체스 챔피언을 상대로
2승 3무 1패의 승리해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후 2004년 IBM이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그램 왓슨은
2011년 미국의 인기 퀴즈쇼에 출연해 인간 도전자를 꺽고
최종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오늘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겠지만
이세돌 9구단과 대결을 펼치는 알파고에 관한 10가지 사실입니다.
1. 인간이 익히는데 1000년 정도 걸릴
바둑 기보를 단 4주 만에 독파
알파고는 4주 동안 스스로와 100만여 번의 바둑 대국을 가졌는데요.
인간이 1년에 바둑 1000번을 둔다고 가정할 때, 1000년이 걸리는 수준입니다.
2. 경기가 불리하다는 판단이 서면, 돌을 던질 수 있다
패배를 인정한다는 일종의 관용구입니다.
3. 이세돌은 알파고와의 대국 제안을 3분 만에 수락
지난 8일 열린 대국 사전 간담회에서 구글의 제안을
3분 만에 승락한 이유는 호기심이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4. 초당 10만 여회의 수를 읽을 수 있다
알파고는 세 단계를 거쳐 바둑돌을 놓는데요.
맨 처음 '정책망'이라는 시스템으로
상대방에 대응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몇 개인지 파악합니다.
이어 '가치망'이란 시스템으로 그 수들의 유불리함을 판단합니다.
이를 거쳐 몇 가지 수를 추려내면, 알파고는 그 가운데서
최적의 선택을 결정하고 이 전 과정을 초당 10만 여회 반복할 수 있습니다.
5. CPU(중앙처리장치) 1202개,
GPU(그래픽처리장치) 176개 사용
CPU 등을 병렬로 연결한 분산 버전 기준으로 슈퍼컴퓨터급입니다.
6. 알파고는 '으뜸바둑'이라는 뜻
바둑은 영어로 Go를 의미하며
여기에 최고의 의미가 담긴 알파(Alpha)를 붙였습니다.
7. 프로 바둑 기사를 이긴 최초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2015년 10월,
유럽 바둑 챔피언 판 후이 2단을 5:0 전승으로 이겼습니다.
8. 알파고의 강점은 두려움이 없다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하사비스는 8일 열린
간담회에서 알파고의 강점은 피로하지 않고
절대 겁먹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9. 프로 5단 수준 기력
구글 딥마인드 자체 추정으로
프로 5단 이상이 치른 기보만 익혔다고 합니다.
10. 포석과 변칙적 전개 대처에 약하다는 평
바둑에서 '포석'이란 중반전에 벌이는 승부,
또는 집 차지에 유리하게끔 돌을 놓은 일을 말합니다.
경기 초반 상대가 몇 십수도 두지 않는 상태에서
알파고가 최적의 수를 찾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경우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인데요.
알파고는 정보 기보로 기력을 키웠기 때문에
인간이 의도적으로 엉뚱한 수를 놓을 경우
예측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이모저모 (0) | 2016.03.28 |
---|---|
아이폰 SE 각국 반응과 한국출시일 (0) | 2016.03.23 |
보안을 위한 선택 텔레그램이 대세? (0) | 2016.03.07 |
아이폰7 콘셉트 영상 모음 (0) | 2016.02.16 |
애플 아이폰 어댑터 리콜 (0) | 2016.02.01 |